The Root of K-Culture: Poongryu (풍류) and the Way of Authentic Living—Elegance as Harmony Between Heaven and Humanity
The Story of Mul Gyeja Seonin (仙人)

Mul Gyeja Seonin lived during the reign of Naehae, the first king of Silla. By the time he reached middle age, his reputation was already established: not only was he unmatched in swordsmanship and music, but also in the subtle art of communion with the divine spirit (神靈). People flocked to him—some to seek counsel on governance, politics, or military affairs, and others, mostly young men, to lodge with him and devote themselves to their own training.
For those who wished to pursue long-term cultivation, he always began by training their minds as a preparatory stage before advancing to more formal disciplines.
Whether it was swordsmanship, music, or any other skill—be it ten or a hundred in number—he taught that none of them were contradictory as long as they conformed to the right principle. For, he insisted, they all sprang from a single root: the spirit (얼, 精神). Countless ways of truth emerge from this source, and to separate one from another was, in his words, like trying to plow a field by chasing after a cow’s shadow—an exercise in futility.
Thus his first question to students was: “Do you know how to breathe?”

Breath is not something artificially produced but something that arises naturally. To regulate the breath is to prepare a dwelling place for the spirit. Only after the spirit has settled in its rightful seat can any true practice begin. Without this foundation, all effort leads nowhere. Even if one might momentarily deceive the unknowing, the divine spirit itself veils the eyes of such pretenders.
Through this method of training, disciples quickly came to revere Mul Gyeja’s extraordinary and profound way of teaching.
He often reminded them:
“Every person possesses their own true color (自己本色). One who loses it cannot accomplish anything. Only those who preserve their true color can discover their natural path (길수, the subtle logic of nature). But do not confuse true color with mere personal taste or whim. Everyone may have preferences, yet not all whims align with heaven. True color harmonizes with nature and reveals one’s path; false whims, divorced from it, yield nothing. When one’s true color fully blossoms in union with nature, one reaches Jejak (天人妙合)—the wondrous harmony of heaven and humanity. This is when the divine spirit (검, 神靈) enters human thought, and human sincerity enters the divine. Any human achievement worth its name is none other than this realization of Jejak.”
As years passed, a unique atmosphere naturally arose around him. Among Mul Gyeja’s disciples, there were none who were stiff, awkward, arrogant, frivolous, deceitful, narrow-minded, or mean-spirited. To outsiders, every one of them appeared refined and graceful. People praised them as true men of elegance (風流, pungnyu).

Mul Gyeja explained:
“Elegance is the resonance between heaven and humanity. Any so-called elegance that does not reach heaven is false and shallow. The moment one becomes self-conscious of ‘having style,’ the channel to heaven is already blocked. True elegance and Jejak are inseparable. There can be no elegance without harmony, nor true elegance without openness and free flow.”
So moving were his words that some disciples wept with joy and bowed in deep reverence.
Whenever Mul Gyeja prepared to wield the sword, he always began by first regulating his breath. Then, with utmost sincerity, he prayed repeatedly with the invocation “May life be preserved” (살려지이다). After prayer, he would sing; after song, he would dance. Only after the dance concluded would he finally draw and use the sword. His disciples, deeply inspired, followed this sequence without fail—breath, prayer, song, dance, and then the sword.
Reference:
Kouksundo [The Way to Eternal Life], written by Master Cheong-san, 1974 edition, pp. 22–24
국선도[영생하는 길], 청산선사 지음, 1974년판 22~24page
물계자 仙人 이야기 중에서
물계자 仙人은 신라제1대 내해왕때 사람이다. 물계자가 중년이 되었을때는 검술, 음악 그리고 검(神靈)을 섬기는 묘리는 말할 것 없고 혹은 처세법 혹은 정치 군사를 물으러 오는 사람들이 모여들었으며, 자기 지망대로 수련을 쌓고 있는 청년들이 묵고 있었다.

오랜 세월을 두고 수련을 하려는 사람들에게는 科目수련의 준비과정으로 정신의 수련부터 먼저 시켰다.
검술이나 음악이나 그빡에 무엇이나 열가지고 백가지고 간에 그것이 틀린 것이 아니라 꼭바른 도리이기만 하면 반드시 둘이 있을 수 없는 것이다. 그것은 하나의 근본에서 나오는 것이니 그것을 사람의 얼(精神)이라고 해두자. 천만가지 도리가 다 이 얼에서 생겨나는 것이니 이 일을 떼어 놓고는 이것이니 저것이니 하는 것은 소(牛) 그림자를 붙들어다가 밭을 갈려고 하는거나 마찬가지로 허망한 소견이야. 그래서 수련을 시킬때 먼저 너 숨을 쉴줄 아느냐 하는 것이다. 숨이란 만들어 쉬는 것이 아니라 절로 쉬는 것이다. 숨을 고루는 것이 얼의 앉을 자리를 닦는 것이니 얼의 자리가 임의롭고 난 뒤에야 무슨 修行이던지 할 수 있는 것이다. 숨을 고룬다 얼의 자리를 닦는다 천만가지 일과 천만가지 이치가 여기서 시작되는 법이거든 여기서 시작된 것이 아니면 참된 경지에 이를 수 없는 것은 물론이고 설령 모르는 사람의 눈을 얼핏 속여 넘기는 수 있으랴 하고라도 검(神靈)님이 그런 사람의 눈에 그물을 덮어 버리는 거야.

이러한 방법의 수련으로 얼마를 지내고 나서는 누구나 大仙人의 신통한 교육법에 감복하지 않을 수 없었다.
또 항상 이런 말을 했다.
“사람은 누구나 제 빛깔(自己本色)이 있는 법이어서 그것을 잃은 사람은 아무것도 이룰 수 없는 것이다. 제 빛깔을 지닌 사람만이 제 길수 (자연의 묘리)를 찾게 되는 법이야. 그러나 제 빛깔이라는 것은 제 멋(자기취향)과는 다른 것이야. 누구나 제멋이 있어야 하지만 제멋대로로 논다고 해서 누구에나 맞는 것이 아니야. 아무에게나 맞을 수 있는 제 멋은 먼저 제 빛깔을 지녀서 제 길수를 얻은 그 멋이고 한 사람에게도 맞을 수 없는 제멋이란 제 길수를 엊지 못한 그것이야. 말하자면 제 빛깔과 절로(자연)와가 한테 빚어서 함뿍 피고 나면 제작(天人妙合)에 이르는 법인데 이 제작이란 검님이 사람의 마음에 태이는(화합) 것이요 검님의 마음이 사람의 생각에 태이는 것이니, 말하자면 사람이 무엇이나 이루었다고 하면 그것은 다른게 아니라 이 제작에 이르렀다는 것이야”
이렇게 세월이 흘러가는 동안 저절로 물계자를 중심으로 한 개의 風氣가 생겼다. 그 風氣란 물계자 문인 치고는 빽빽하거나 어색하거나 설멋지거나 까불거나 설넘치거나 고리거나 비리거나 얄밉거나 전체하거나 따분하거나 악착한 사람은 아주 없는 것이다. 누구나 척 대하기만하면 세상사람들은 물계자의 문인들을 모두 참 멋쟁이(風流)라고 말하게 되었다.
“멋, 風流 하늘과 사람 사이에 서로 통하는 것이 멋이야. 하늘에 통하지 아니한 멋은 있을 수 없어. 만일 있다면 그야말로 설멋이란 말이야. 제가 멋이나 있는체 할때 벌써 하늘과 통하는 길이 막히는 법이거든” “참멋과 제작은 마침내 한지경이니 너희는 여기까지 알는지 사우(調和) 맞지 않는 멋은 없는 것이며 터주기(融通透徹-융통투철) 않은 멋도 없는 것이니 사우맞지 않고 터지지 않은 제작이 있는가?”
이런 말을 들을 때 환희와 감격에 넘쳐서 눈물을 흘리면서 절하는 제자도 있었다. 물계자는 칼을 쓸적마다 언제든지 먼저 숨을 고루었다. 그리고는 “살려지이다”라는 祈禱辭(기도사)를 몇번이든지 수없이 되풀이 하면서 정성을 다하여 기도를 올린다음에 의례히 노래를 불렀다. 노래가 끝나면 이어 춤을 추었다. 춤이 끝난 다음에 비로소 칼을 쓰는 것이 언제나 변함없는 순서였기 때문에 물계자의 문인들은 으레 大仙人의 하는 순서대로 따랐다.
Initially Archived: 2025.09.01